대동문화재연구원 봉수대 재현사업 부지 발굴 조사 과정서 발견···석축산성으로 저수시설도 확인

지난 4일 오후 고령군 성산면 봉화산 대가야 관문성 발굴현장에서 당시 군사들이 먹는 물을 보관하던 원형의 석축 저수시설을 곽용환 고령군수(앞줄 중앙)와 관계자들이 둘러보고 있다. 고령군제공
경북 고령군이 대가야 궁성에 이어 신라 접경인 성산면 봉화산에 대가야 관문성이 연이어 발견되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재단법인 대동문화재연구원은 고령 봉화산의 봉수대 재현사업을 위한 부지 발굴조사 과정에서 대가야 산성을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관문성은 대가야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신라와 대치하던 접경지역으로 관문을 지키는 전략적 요충지로 학계로부터 주목을 받아왔다.

축조형태는 대가야 궁성 대피성인 주산성과 동일한 석축성이며, 군사들의 먹는 물을 보관하던 원형의 석축 저수시설도 확인됐다.

고령군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정밀발굴조사를 시행했으며, 봉화산 봉수대는 조선시대 제2봉수로의 간봉이며, 가덕도 천성보에서 칠곡 각산봉수 사이 10번째에 해당하는 말응덕산(末應德山) 봉수의 연조와 물품을 보관하던 건물지가 확인됐다.

봉수시설의 중심시설인 방화벽과 연조자리, 건물지 그리고 주변시설인 방호벽과 건물지가 밝혀졌다. 이 과정에서 봉수시설이 구축되기 이전에 조성된 대가야 시대로 판단되는 관문성이 발견됐고, 6세기 대가야시대 토기편도 다수 출토됐다.

대동문화재에 따르면 봉화산성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는 대가야 시대인 6세기 무렵에 돌을 쌓아 처음 축조된 산성으로 파악됐으며, 축조방법은 대가야 왕도의 배후에 자리하며 대가야 석축산성으로 밝혀진 주산성의 축조방법과 동일한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가장 중요한 성과는 기존의 고분 중심으로 진행되던 대가야사 연구 한계를 극복하고 산성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의 관방체계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과 동시에 신라와 대치하던 당시의 정세와 더불어 대가야의 영역, 교류, 번성과 쇠락 등 다양한 시각과 관점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지정학적인 관점에서는 대가야의 왕경과 최단거리에서 신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낙동강변의 관문이라는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된 주요 성곽이다. 이 산성과 대가야 궁성까지의 중간 길목에는 별도로 망산산성을 배치해 2중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다. 당시 신라권역의 달구벌(대구)에서 대가야로 향하는 길목에 축조된 점에서 이 성을 대가야의 관문성으로 볼 수 있다. 낙동강 건너 이 산성과 대치하는 신라의 산성으로 위천리 산성이 위치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가야 성곽으로 밝혀진 사례는 대가야 궁성과 대피성인 주산성이 전부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대가야의 국경에 설치된 석축산성의 실체가 처음으로 드러남으로써 향후 대가야궁성을 둘러싸고 주변지역에 배치되어 있는 17개소의 성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발굴조사 성과는 향후 대가야시대 성곽에 대한 발굴조사 자료의 축적과 이를 통한 대가야사의 연구를 통해 고대국가로서 대가야의 역량과 역사적 실체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권오항 기자
권오항 기자 koh@kyongbuk.com

고령, 성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