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이나 지금이나 다른 언어를 번역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같은 말을 두고 해설이 구구한 것이 인간 사는 세상이니 그럴만도 하다.

독일 소설가 볼프강 보르헤르트는 “시 중에서도 주로 운율이 뛰어난 작품들은 번역이나 해설로 전달이 불가능하며 오히려 원작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

버나그쇼의 묘비명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을 두고 논란이 있었다. ‘스테이 어라운드(stay around)’를 ‘우물쭈물하다’로 번역한 것이 잘못이라는 것이었다. 말재주로 명성이 자자했던 극작가의 묘비명이 익히 알려진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어’가 아니라는 것이었다. 직역을 하면 “내가 비록 충분히 오래 어슬렁거렸다 하더라도, 이 같은 일이 일어날 줄 나는 알았다” 정도가 될 것이다.

버나드 쇼는 95세까지 장수했다. 이 세상을 오래 살았지만 치열한 삶을 살았다. 좀 더 친절한 번역으로는 “내가 비록 꽤 이곳에 오래 머물긴 했지만 이 같은 일(죽음)이 결국엔 닥칠 것이라는 걸 알고 있었다” 정도의 번역이 옳다는 것이었다. 이처럼 번역에 따라 문장의 뜻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국내 한 출판사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원문을 제시하고 “바른 번역을 보내주시는 분 가운데 뜻을 같이할 수 있는 분들을 선정해 세계 고전문학의 번역을 의뢰하겠다”고 공지했더니 400여 편의 번역본이 이메일과 SNS로 도착했다고 한다. 출판사 관계자들이 깜짝 놀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것이다.

출판사가 제시한 문장은 ‘He took another full piece and chewed it.’이었다. 이 문장은 ‘그는 또 다른 온전한 조각을 집어서 씹었다.’로 번역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번역본은 ‘노인은 다른 토막 하나를 통째로 집어서 씹어 먹었다.’ 등으로 옮겼다.

종종 번역본을 읽다가 ‘도대체 이게 무슨 뜻인가’하고 고민하다가 책을 집어 던져버린 경우가 있었다. ‘번역은 오역’이라지만 유능한 번역가들이 많이 배출돼 오역이 줄고 우리 문학도 세계에 잘 알려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동욱 편집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