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규 문학평론가.jpeg
▲ 한정규 문학평론가
울산, 여수, 서산대산 등 세 곳에 석유화학단지가 있다. 그 이외에도 경상북도 포항제철을 포함 화학물질을 대량 취급하는 업체가 적지 않다.

석유화학 제조 가공시설은 안전 취약시설로 사고 위험이 상존할 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했다 하면 인명피해를 수반한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1984년 12월 3일 인도 보팔시에 있는 유니온 카바이트사 농약제조공장에서 메틸이소시아 유독가스 폭발사고가 발생 보팔시 인구 75만 명 중 1만여 명이 사망하고 60여만 명이 부상을 입었다. 그 외에도 미국 일본 스웨덴 이탈리아 등에서 화학물질 폭발사고가 끝이지 않았다. 화학물질은 위험 못지않게 일상생활에 많이 쓰이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우리나라에는 1961년 충주비료공장과 1962년 나주에 호남비료공장을 세웠다. 그 후 1968년 울산, 1979년 여수, 1991년 대산서산 등에 석유화학공단을 만들었다. 그렇게 전국각지에 화학제품제조시설이 설치 가동되기 시작하면서 화학물질 폭발사고도 적지 않게 발생했다. 1989년 여수 럭키화학공장 가스폭발사고로 16명이 사망했다. 2003년 여수 호남석유화학 가스폭발사고, 2012년 6월 여수 대림산업 가스폭발사고가 발생했다. 2012년엔 구미 ㈜휴브글로벌사에서 불산 유출 사고, 2013년 1월 삼성전자 수원공장 불산 유출 사고 3월 LG실트론에서 불산이 포함된 혼산 유출 사고, 구미캐미칼 염소가스 유출 사고, SK하이닉스 청주공장 염소가스 누출 사고, 포항제철 용광로 폭발사고가 그 외에도 2015년 1월 11일 울산항에 정박 중인 화학물질운반시설인 ‘한양에이스호’가 폭발했다.

지난 4월 13일엔 영주시 가흥산업단지 SK멀티리얼리즈공장에서 물과 만나면 불산으로 변하는 육불화텅스텐이 누출 폭발했다. 그 공장은 2012년과 2013년에도 가스 폭발사고 났었다. 또 4월 14일에는 인천소재 이래화학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문제는 화학물질제조시설은 첫 설치 후 25년에서 30년이 지나면 폭발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이 잦다. 그래서 사고 방지를 위해 보수 등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울산, 여수석유화학공단 내 화학제품제조시설이 설치된 지 30년이 넘어 시설이 노후화돼 폭발 위험이 크다. 또 운반, 사용시설 역시 다르지 않다. 그래서 관리에 각별히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무엇보다도 노후 시설 개보수가 적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시설 개보수 시 세심한 주의는 물론 감독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라 화학제품 관련 시설에 근무한 직원과 인근 주민에 대한 안전교육에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화학제품제조, 보관, 운반, 사용 시 각별한 주의를 하지 않으면 언제 어디서나 불의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 명심해야 한다. 유독 봄철이면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 정부는 사고 예방을 위해 점검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관련 업체 또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것만이 화학물질 사고로부터 안전을 지킬 수 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