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천 최병국.png
▲ 최병국 고문헌연구소 경고재대표·언론인
지난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으로 2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방향을 잃고 혼수상태에 빠졌던 자유한국당이 엊그제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당 대표로 선출함으로써 정상 지도체제를 갖추게 됐다. 황 대표는 한국당 입당 44일 만에 50%의 득표율로 당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러나 앞으로 계파 봉합과 5·18 망언 사태, 탄핵 부정, 분열된 보수정치권의 통합, 급변할 한반도 안보지형의 대응전략, 우경화 논란 등을 수습해야 하는 무거운 과제를 남겨 두고 있다. 또한 다가오는 내년 4월의 총선에서 승리를 해야 되는 절체절명의 난제도 풀어내야 한다.

그는 당 대표 수락 연설에서 “지금 단상에서 내려가는 순간부터 문재인 정권의 폭정에 맞서 국민과 나라를 지키는 치열한 전투를 시작하겠다”고 굳은 다짐을 밝혔다. 황 대표의 이날 연설대로라면 오랜만에 한국당이 문재인 정권을 상대로 브레이크 없이 질주하는 정책 독주와 독선, 좌편향 정치와 맞서는 대여투쟁을 볼 수 있게 될 것 같다. 그러나 황 대표가 우선적으로 해야될 과제는 대한민국 바로 세우기와 좌편향 정부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국민 돌보기이다. 지금까지 문재인 정부는 야당의 야당다운 비판 없이 거리낌 없는 무소불위의 정책을 집행해 왔다. 황교안의 한국당이 얼마만큼 문재인 정권의 독주를 막아 낼지는 앞으로 두고 볼 국민적 관심사이기도 하나 지금 시급한 것은 국민들이 문재인 정부 치하에서 어떤 고충을 겪고 있고 어떤 고민에 빠져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4대강 보 허물기와 탈원전 정책, 최저임금 강행, 주 52시간 근로, 세금 퍼주기 복지 포퓰리즘, 지방을 균형발전 시킨다는 명목으로 수십조원이 투입되는 예비타당성 면제사업 남발 등에 대해서도 당 차원에서 조사단을 만들어 문제점을 파헤쳐 대책을 세워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당내 결속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고질적인 문제로 대두 되어온 친박, 비박의 계파를 없애고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단행해야 한다. 황 대표 자신이 박근혜 정부의 마지막 총리 출신인 만큼 친박계를 뛰어넘는 인적쇄신이 있어야만 국민적 동의를 얻어 낼 수가 있다. 그렇게 되면 국민의 동의가 당의 대여 투쟁에 큰 배경과 동력이 될 것이다. 이런 난관을 무난하게 뛰어넘으면 내년에 있을 총선에서의 승리를 손에 쥘 수가 있다. 그렇지 못하고 친박과의 차별화에 실패한다면 당선 수락 연설에서 “우리는 하나”며 “한국당은 원팀”이라고 외친 말이 허구에 불과해지고 보수 대통합의 구상도 난관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자칫 ‘도로 친박당’이 될 것이며 한국당에 관심을 가져 보려고 한 보수 유권자의 발길을 돌리게 할 것이다.

이제 한국당 분열의 아이콘처럼 돼버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자중도 어느 때 보다 요구되는 상황이다. 더 이상 감옥 안에서의 ‘책상 의자론’ 같은 개인적 불만으로 ‘박심’을 흘려 현실정치에 개입해 한국당의 새 지도부를 흔들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한국당에도, 국민에게도, 본인에게도 백해무익한 짓거리기 때문인 것이다. 한국당이 분열되면 누가 먼저 웃을 것인가. 100년 집권론을 꺼낸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자신감이 어디에서 나오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지금 여권에서 ‘박근혜 사면 총선 필승론’이 나오는 배경을 우스갯소리로 넘겨 볼 일이 아니다. 박 전 대통령을 사면하면 보수 세력이 둘로 쪼개져 총선 승리는 따놓은 당상이란 얘기다.

황교안 한국당 대표와 경기고등학교 동기인 고 노회찬 정의당 의원이 황 대표와의 일화 한 가지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다. “1989년 노동운동으로 구속돼 서울지검에서 수사가 끝나는 날 옆방의 공안 검사로 있던 황교안이 나를 자기 방으로 불렀다. 포승줄과 수갑을 다 풀고 담배도 피우고 커피도 마시며 그는 나에게 ‘교도소에서 어떻게 지내느냐?’고 안부를 물었다. 나는 걱정하지 말라는 뜻으로 서울구치소가 새로 옮겨서 겨울에 덜 춥고 괜찮다고 말한 것이 기억난다.” 30년 전 황 대표가 고교동기 노 전 의원에게 베푼 우정을 당 운영에서도 보여 자유 우파의 대통합을 이뤄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