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농민이 전국 시도 중에서 가장 많은 이른바 농도(農道)다. 농토 면적이 넓으니 농사도 많이 짓는 것이다. 통계청이 조사한 ‘2015 농림어업 총조사’결과에 따르면 경북도 농가는 18만5천 가구(전국의 17%), 농가인구는 41만 명(전국의 16%)으로 각각 전국 1위다.

농축산물 판매금액도 타 시도보다 비교적 많다. 1억원 이상 판매 농가는 4천788가구로 전국 2만9천259가구의 16.4%를 차지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고소득 농가를 보유한 것이다. 시군 단위로도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소득 농가가 많은 성주군(649가구)을 비롯해 전국 50위 내에 상주, 의성, 김천, 영천, 영주, 안동, 경주 등 다수의 도내 시군이 포함됐다.

이들 고소득농가는 보통 여느 농가와는 다른 특별한 영농을 한다. 고소득 농가는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공동경영 조직체를 확대 육성해 생산비는 줄이고 품질은 고급화한다. 비전통 농법으로 농업여건 변화와 대응 면에서 두드러진 결과로 분석된다. 당국의 지원도 이런 농가에 치우쳐 있다.

경북의 농가 중 고소득 농가는 과수, 약용작물, 축산을 주로 한다. 과수(전국의 32.5%), 약용작물(전국의 24.1%), 축산(전국의 18.9%) 등 작물의 생산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소득 농업정책에서는 경북도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이마저 최근 암초가 나타났다. 국산으로 둔갑한 수입 농축산물에 시장을 빼앗긴 데다 ‘김영란법’으로 명절 이후 과일값 전망까지 흐리기 때문이다. 농민들이 이래저래 심사가 편치 못하다.

문제는 모든 농가가 고소득농가가 되기에는 아직 요원하다는 것이다. 풍년인데도 벼농사를 짓는 농민의 표정이 밝지 못한 것이다. 쌀값 하락 때문이다. 생산지 쌀값이 작년 이맘때보다14% 이상 하락했다. 누렇게 여물어가는 들녘을 바라보는 마음이 그다지 밝지 않다. 우리 농민들의 표정은 본격적인 쌀 수확기가 다가오면서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우리 농업과 농촌이 소수의 대농뿐 아니라 다수의 소농까지 부유하려면 도와 정부의 농업정책이 이들 소농에게까지 손길이 닿아야 한다. 아울러 우리의 도시민들도 평상시 수입 농축산물이 아닌 우리 농축산물을 애용하는 이들이 많아져야 한다. 농업과 농촌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다수의 농민이 잘 사는 농촌을 만들어지는 날이 올 것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