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대구와 경북의 출생아 수가 10% 넘게 감소해 출산 기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가 선심성 정책이 아닌, 실효성 있는 ‘출산장려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8일 통계청의 ‘2017년 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대구와 경북의 출생아 수는 1천600명과 1천8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1%와 10% 각각 줄었다.

이는 15개 시도 중 경북은 경기와 서울 등에 이어 6번째로 출생아가 많았으며, 대구는 경북 뒤를 따랐다.

특히 경북은 지난해에만 두 차례나 출생아가 2천명을 기록했지만, 대구는 지난 2014년부터 3년 연속 2천명에도 미치지 못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이처럼 출생아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결혼하지 않거나 미루는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상황은 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대구와 경북의 지난 1월 혼인 건수는 1천100건으로 2014년부터 1월 기준으로 최저였던 지난해 1월과 같았다.

또한 두 지역은 지난해 8월 이후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오다 지난 1월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이 밖에도 이혼 건수 역시 두 지역이 모두 400건으로 조사됐으며, 대구의 경우 지난해 5월 이후 8개월 연속 같았다.

반면 사망자 수에서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이 기간 경북은 전년과 비교해 같은 1천900명으로 집계됐지만, 대구는 9.1%나 늘어난 1천200명으로 확인됐다.

한편 이날 전국의 지난 1월 출생아 수는 3만5천100명으로 전년 대비 11.1% 줄어들어 월별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0년 이래 역대 1월 출생아 수 가운데 가장 적었다.

통계청은 출생아가 감소하는 것에 대해 1979년에서 1982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 산모가 35살 이상으로 넘어가 산모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혼인 건수가 감소해 월별 출생아 수는 계속 줄어들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산모 인구도 감소해 악순환이 계속될 듯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